문제0과 1로 이루어진 어떤 문자열 x에 대한 이진 변환을 다음과 같이 정의합니다.x의 모든 0을 제거합니다.x의 길이를 c라고 하면, x를 "c를 2진법으로 표현한 문자열"로 바꿉니다.예를 들어, x = "0111010"이라면, x에 이진 변환을 가하면 x = "0111010" -> "1111" -> "100" 이 됩니다.0과 1로 이루어진 문자열 s가 매개변수로 주어집니다. s가 "1"이 될 때까지 계속해서 s에 이진 변환을 가했을 때, 이진 변환의 횟수와 변환 과정에서 제거된 모든 0의 개수를 각각 배열에 담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제한사항s의 길이는 1 이상 150,000 이하입니다.s에는 '1'이 최소 하나 이상 포함되어 있습니다.입출력 예 문제 해결문자가 1..
문제JadenCase란 모든 단어의 첫 문자가 대문자이고, 그 외의 알파벳은 소문자인 문자열입니다. 단, 첫 문자가 알파벳이 아닐 때에는 이어지는 알파벳은 소문자로 쓰면 됩니다. (첫 번째 입출력 예 참고)문자열 s가 주어졌을 때, s를 JadenCase로 바꾼 문자열을 리턴하는 함수, solution을 완성해주세요.제한 조건s는 길이 1 이상 200 이하인 문자열입니다.s는 알파벳과 숫자, 공백문자(" ")로 이루어져 있습니다.숫자는 단어의 첫 문자로만 나옵니다.숫자로만 이루어진 단어는 없습니다.공백문자가 연속해서 나올 수 있습니다.입출력 예 문제해결단어 전체를 소문자로 변경 후 공백기준으로 분리합니다.공백이 아닌 단어 맨 앞글자는 대문자로 바꿔줍니다. 더보기더보기class Solution { ..
문제길이가 같은 배열 A, B 두개가 있습니다. 각 배열은 자연수로 이루어져 있습니다.배열 A, B에서 각각 한 개의 숫자를 뽑아 두 수를 곱합니다. 이러한 과정을 배열의 길이만큼 반복하며, 두 수를 곱한 값을 누적하여 더합니다. 이때 최종적으로 누적된 값이 최소가 되도록 만드는 것이 목표입니다. (단, 각 배열에서 k번째 숫자를 뽑았다면 다음에 k번째 숫자는 다시 뽑을 수 없습니다.)예를 들어 A = [1, 4, 2] , B = [5, 4, 4] 라면A에서 첫번째 숫자인 1, B에서 첫번째 숫자인 5를 뽑아 곱하여 더합니다. (누적된 값 : 0 + 5(1x5) = 5)A에서 두번째 숫자인 4, B에서 세번째 숫자인 4를 뽑아 곱하여 더합니다. (누적된 값 : 5 + 16(4x4) = 21)A에서 세번째..
문제괄호가 바르게 짝지어졌다는 것은 '(' 문자로 열렸으면 반드시 짝지어서 ')' 문자로 닫혀야 한다는 뜻입니다. 예를 들어"()()" 또는 "(())()"는 올바른 괄호입니다.")()(" 또는 "(()(" 는 올바르지 않은 괄호입니다.'(' 또는 ')' 로만 이루어진 문자열 s가 주어졌을 때, 문자열 s가 올바른 괄호이면 true를 return 하고, 올바르지 않은 괄호이면 false를 return 하는 solution 함수를 완성해 주세요.제한사항문자열 s의 길이 : 100,000 이하의 자연수문자열 s는 '(' 또는 ')' 로만 이루어져 있습니다. 문제해결'스택'이라는 알고리즘으로 해결 할 수 있다.count 변수를 이용하여 '('와 ')'의 개수를 조정합니다.'('가 나오면 count를 증가..
https://developer.android.google.cn/develop/ui/views/launch/splash-screen?hl=ko 스플래시 화면 | Views | Android Developers중요: Android 11 이하에서 맞춤 스플래시 화면을 구현한 경우 앱을 SplashScreen API로 이전하여 Android 12 이상에서 올바르게 표시되도록 하세요. 자세한 내용은 기존 스플래시 화면 구현을 Android 12로developer.android.google.cn 안드로이드 12 부터는 SplashScreen API가 추가되었다고 한다. SplashScreen API는 앱의 상태에 따라 실행되는데 안드로이드 12부터 강제적으로 사용해야 되는 번거로움이 생겼다고 한다. Spl..
디자인 패턴 관련 글 첨부합니다. 2024.04.30 - [안드로이드] - [Android] 디자인 패턴 이해 (MVC/MVP/MVVM) [Android] 디자인 패턴 이해 (MVC/MVP/MVVM)1. 디자인 패턴이란?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을 설계할 때 자주 발생하는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패턴을 의미한다.어떻게 보면 개발하는 방법을 공식화한 것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2.goharry.tistory.com2024.05.04 - [안드로이드] - [Android] MVC 패턴! [Android] MVC 패턴!2024.04.30 - [안드로이드] - [Android] 디자인 패턴 이해 (MVC/MVP/MVVM) [Android] 디자인 패턴 이해 (MVC/MVP/MVVM)1. 디자인 패턴이란?객체 ..
디자인 패턴 관련 글들을 첨부하고 시작하겠습니다.2024.04.30 - [안드로이드] - [Android] 디자인 패턴 이해 (MVC/MVP/MVVM) [Android] 디자인 패턴 이해 (MVC/MVP/MVVM)1. 디자인 패턴이란?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을 설계할 때 자주 발생하는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패턴을 의미한다.어떻게 보면 개발하는 방법을 공식화한 것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2.goharry.tistory.com2024.05.04 - [안드로이드] - [Android] MVC 패턴! [Android] MVC 패턴!2024.04.30 - [안드로이드] - [Android] 디자인 패턴 이해 (MVC/MVP/MVVM) [Android] 디자인 패턴 이해 (MVC/MVP/MVVM)1. 디자..
이전에 이미지 뷰에 이미지를 띄우기 전에 thumnail() 이라는 메서드로 로딩 애니메이션을 구현한 예제를 포스팅 했었다. 2024.07.27 - [안드로이드] - [Android] Glide 2 - 로딩 애니메이션 구현 [Android] Glide 2 - 로딩 애니메이션 구현예전에 글라이드에 대한 글을 한번 남긴 적이 있었다. 2024.03.25 - [안드로이드] - [Android] Gilde, 글라이드 [Android] Gilde, 글라이드처음에 이미지뷰에 이미지를 로드하기 위해서 우리는 기본적으로 segoharry.tistory.com 그런데 또 문제가 발생해서 포스팅을 해봅니다. 문제프로필 이미지의 UI 추세가 원형이기 때문에 내 프로젝트에는 원형이미지뷰를 구현할 수 있게 해주는 circle..
예전에 글라이드에 대한 글을 한번 남긴 적이 있었다. 2024.03.25 - [안드로이드] - [Android] Gilde, 글라이드 [Android] Gilde, 글라이드처음에 이미지뷰에 이미지를 로드하기 위해서 우리는 기본적으로 setImageResource를 사용한다. imageView.setImageResource() imageView.setImageURI() 등 하지만 안드로이드에서 이미지를 빠르고 효율적으로 불러goharry.tistory.com 사용자 관점에서 생각 내가 보통 글라이드를 사용할 때url로 이미지를 로드하는 경우가 굉장히 많다.그래서 이미지 로드가 완료되기 전 또는 에러가 나서 이미지를 불러오지 못했을 때 대체 이미지를 보여줘야 하는 경우가 많았다.그럴 때마다 나는 place..
핸들러에 대해 설명한 글을 보고 오시면 더 이해하기 좋을 것 같습니다.2024.05.09 - [안드로이드] - [Android] 핸들러(Handler) [Android] 핸들러(Handler)안드로이드의 스레드는 두 가지가 존재합니다. 먼저, 일반적인 코드처리, 화면을 갱신하는 처리 등을 담당하는 메인스레드(UI 스레드)스레드 클래스를 사용해서 백그라운드에서 작업을 처리하goharry.tistory.com 제가 적은 핸들러 관련 글을 같이 첨부해 놓겠습니다. 핸들러 정리핸들러의 사용 이유에 대해 다시 한번 간략하게 정리해 보면 안드로이드에서는 하나의 프로세스 안에서 동시에 수행되어야 하는 작업을 위해 작업 스레드를 사용하게 되는데, 이 작업스레드는 UI 변경 등의 행동을 할 수가 없습니다.이때 작업스레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