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Assert
단언문이라고도 하는 assert는 특정 조건이 true 인지 확인합니다.
조건이 false 일 경우, AssertError를 발생시켜 프로그램을 비정상 종료 시킵니다.
쉽게 생각하면,
내가 참이라고 생각하는 결과가 정말 참인지 검증할 때 사용하는데, 만약 참이라면 아무 문제가 없고 거짓이라면 AssertionError를 발생시키게 됩니다.
기본문법
assert 조건식;
assert 조건식 : 오류메시지;
- 조건식 : true 이어야 하고, false일 경우 AssertError가 발생합니다.
- 오류메시지(선택) : 조건이 false일 때 출력할 메시지 입니다.
Assert 키워드 사용 전 세팅
Assert 키워드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JVM에서 -ea 옵션을 설정해 주어야 한다. IntelliJ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Run > > Edit Configuration
Modify options > Add VM options로 생성된 칸에 -ea를 작성해 주면 된다.
-ea 말고도 다른 명령어 들도 있으니 찾아보면 좋을 것 같다.
예제
이런 식으로 AssertError를 발생시킵니다.
언제 사용할까요?
- 디버깅: 개발 중 논리 오류를 탐지하기 위해 사용
- 가정 확인: 특정 코드가 실행되기 전에 조건이 만족되는지 확인
- 테스트 코드: 유닛 테스트 작성 시 간단한 검증 도구로 활용
주의사항
- Assert는 런타임 환경에서 비활성화될 수 있으므로 중요한 비즈니스 로직에서는 if-else와 같은 검증 로직을 사용해야 한다.
- Assert는 비활성화되면, assert문은 무시되고 프로그램이 정상적으로 실행된다.
- Assert는 테스트 목적이고, 중요한 예외처리는 IllegalArgumentException, NullPointerException 등을 사용해야 한다.
끝!
반응형
'자바'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 for문 - 향상된 for문 (0) | 2024.02.03 |
---|---|
[Java] 원 만들기 (0) | 2024.02.01 |
[JAVA] 인터페이스(interface)를 분석해보자 (1) | 2024.01.15 |
[JAVA] 추상클래스(Abstract Class) (1) | 2024.01.13 |